메뉴 건너뛰기

Knowhow - 디자인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

 

 

 

유럽에서 고전 양식 classical style은 최초의 건축양식이다. 그리스에서 탄생해 로마에서 형식주의를 더욱 발전시켰다. 하지만 5세기에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이 양식은 급속도로 양화 되었다. 제국의 몰락으로 당시로서는 유지 비용이 엄청나게 많이 드는 고전 양식을 감당할 수가 없었다. 지난 글에서 밝힌 것처럼 로마의 고전 양식은 아치에 오더order *칼럼과 엔타블라처를 붙인 것으로 화려한 만큼 건설 비용이 많이 든다. 서로마제국 멸망 뒤 바실리카와 콜로세움 같은 공공건물들은 이제 용도가 폐기되었다. 가난해진 중세 사람들은 이런 공공건물의 벽돌과 기둥을 뽑아 자기들의 집을 짓는 재료로 삼았다. 이렇게 고전 양식은 서서히 유럽인들의 시야에서 사라져갔다.

 

 

01.jpg

<로마 포럼의 카프리치오>, 그림: 지오반니 파올로 판니니, 1741년. 폐허가 된 로마를 표현한 그림

 

 

그 자리를 대체한 것은 중세의 성당 양식이다. 마치 그리스의 위대한 고전 철학을 가톨릭 신학이 대체한 것처럼 중세의 성당은 고전 양식과 다른 두 가지 양식을 탄생시켰다. 첫 번째는 로마네스크 양식이고 두 번째는 고딕 양식이다. 이 중에서도 12세기부터 나타난 고딕 양식은 고전 양식과 함께 유럽 건축양식의 양대 축을 구성한다. 근대 이전 양식인 고전 양식과 고딕 양식은 20세기에도 여전히 재현되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교회가 현대적인 건물 위에 첨탑 하나만 얹어서 교회임을 표시한 것은 고딕 양식을 따른 대표적인 사례다.

 

 

 

02.jpg

고딕 건축으로 유명한 파리 노트르담 성당의 목판화, 1857년. ⓒDmitry Makeev 

 

 

고딕 양식에는 고전 양식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오더order가 없다. 오더가 없으니 칼럼과 엔타블라처도 없다. 오더가 없는 고딕 양식의 가장 큰 특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커다란 창으로부터 빛이 실내로 쏟아져 들어온다는 사실이다. 다른 하나는 그 높이가 압도적으로 높다는 사실이다. 중세 사람들은 신을 빛과 수직적 높이로 표현하고자 했다. 빛으로 가득한 실내 공간을 창조하려면 벽에 커다란 창문을 뚫어야 한다. 창문은 벽돌로 쌓은 벽체와 달리 유리로 만들어졌으므로 지붕의 무거운 하중을 견뎌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중세의 건축가들은 ‘리브 볼트rib vault’라는 독특한 지붕 구조를 발전시켰다. 리브 볼트는 ‘늑골 궁륭’ 또는 ‘늑재 궁륭’이라는 어려운 한자말로 번역해서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 쉬운 말로 하면 ‘갈비뼈 둥근 천장’이다. 볼트vault는 둥근 천장을 뜻한다. 아치를 터널처럼 길게 연장하면 ‘배럴 볼트barrel vault’가 되며, 로마 고전 양식의 대표적인 천장 구조다. 배럴 볼트는 중세 로마네스크 건축으로 이어졌다. 이 천장 구조는 지붕의 하중을 벽 전체에 골고루 전달하므로 큰 문이나 창문을 낼 수 없다.

 

 

03.jpg

로마의 지붕 구조인 배럴 볼트(barrel vault)는 지붕의 하중을 벽 전체에 골고루 전달하기 때문에 벽에 큰 문이나 창문을 만들 수 없다.  

 

 

하지만 리브 볼트, 즉 갈비뼈 둥근 천장은 갈비뼈 같은 뼈대 구조로 지붕을 구성하고 그 무게를 기둥으로 전달한다. 갈비뼈 뼈대 사이에는 가벼운 석재를 채워 벽에 전달하는 무게를 최소화한 것이다. 이렇게 지붕의 무게를 갈비뼈 뼈대에 집중시키고 그것을 벽 전체가 아닌 기둥에 전달한다. 이러한 지붕 구조 덕에 하중을 견딜 수 없는 연약한 유리로 벽을 채울 수 있게 된 것이다.

 

 

04.jpg

고딕의 천장 구조인 리브 볼트(rib vault)는 지붕의 무게를 기둥에 집중시킨다.

 

 

리브 볼트만으로는 부족하다. 큰 창문을 방해하는 또 다른 문제는 아치의 구조에서 나온다. 아치는 중앙에 이맛돌keystone이 들어감으로써 완벽한 균형을 맞춘다. 이맛돌은 중력 때문에 밑으로 떨어지려고 하지만, 거꾸로 된 사다리꼴이어서 밑변은 작고 윗변은 크다. 따라서 결코 밑으로 떨어질 수 없다.

 

 

05.jpg

아치의 구조. 중앙의 이맛돌은 거꾸로 된 사다리꼴 모양으로 아치 균형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밑으로 떨어지려는 힘은 사라지지 않으므로 그 힘은 옆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맛돌은 옆으로 밀어내는 횡압력을 발생시킨다. 이 압력을 눌러줘야 하므로 아치 구조는 무거운 돌로 아치 구조 주변을 꽉꽉 채워주게 된다. 이에 따라 피어pier, 즉 기둥이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 기둥이 두꺼워지면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인 스팬span이 짧아진다. 이는 곧 문이나 창문의 폭이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팬이 짧아지면, 중세인들이 신의 상징으로 삼은 빛의 양이 줄어드는 결과를 낳는다.

 

 

06.jpg

둥근 아치는 이맛돌로 인해 수직적인 힘이 수평적인 힘으로 바뀌어 횡압력을 발생시킨다.

 

 

이는 더 많은 빛을 실내에 끌어들이려는 중세 건축가들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중세인들은 첨두아치pointed arch를 고안했다. 첨두아치는 말 그대로 아치의 중앙 끝이 뾰족하다. 첨두아치에는 이맛돌이 없다. 이에 따라 횡압력 없이 하중이 수직으로 떨어진다. 그렇게 되면 기둥의 폭을 줄일 수 있고, 기둥의 폭이 줄어들면 문이나 창문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진다. 결국 더 많은 빛을 실내로 끌어들일 수 있는 것이다.

 

 

07.jpg

첨두아치의 구조. 첨두아치로 디자인된 파리 노트르담 성당의 대문. ⓒSharon Mollerus

 

 

08.jpg

고딕 성당의 벽에 연속적으로 뚫린 창의 구조는 첨두아치다. ⓒImmanuel Giel

 

 

갈비뼈 둥근 천장과 첨두아치로 큰 창문을 만들 수 있었지만,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한다. 성당을 당시로서는 어마어마하게 높이 지으려고 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다. 서쪽 문과 중앙 위에 높이 솟은 첨탑 높이는 100미터가 넘는 경우도 많다. 첨탑을 빼고 미사 전례를 행할 때 신자들이 들어오는 본당의 높이도 40미터가 넘는다. 천장 높이가 40미터이니 기둥이 감당해야 하는 무게가 엄청나게 커진다.

 

 

09.jpg

프랑스 아미앙 성당. 첨탑 높이 113미터, 신자석 지붕 높이 42미터. ⓒBB 22385

 

 

지붕의 무게가 기둥에 집중되고, 그 기둥이 높다 보니 지붕이 기둥에 가하는 횡압력에 취약해진다. 그대로 두면 기둥은 압력을 견디지 못해 옆으로 무너지고 건물이 붕괴될 위험에 처하는 것이다. 이 기둥에 가해지는 횡압력을 막아주는 별도의 구조물은 건물 밖에 세우는데, 그것을 ‘버팀부벽buttress’이라고 한다.

 

 

10.jpg

벽에 붙어 있는 버팀부벽. ⓒHans G. Oberlack

 

 

기둥마다 버팀부벽을 붙여 놓으면 안전한데, 문제는 그렇게 옆으로 튀어나온 부벽을 기둥마다 세우면 햇빛이 창으로 들어오는 것까지 막아버린다는 점이다. 그래서 부벽을 건물로부터 떨어뜨려 독립시킨 뒤 건물과 부벽 사이를 공중에서 연결시킨 구조물을 만들어 붙인다. 이 구조물은 공중에 날아가는 듯 떠 있어서 ‘공중부벽flying buttress’이라고 부른다. 건물 기둥에 가해지는 횡압력은 플라잉버트리스, 즉 공중부벽으로 전달되고, 그 힘은 버팀부벽을 따라 지면으로 떨어진다. 부팀부벽이 건물로부터 독립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에 생긴 공간으로 빛의 유입이 차단되지 않는 것이다.

 

 

11.jpg

버트리스와 플라잉 버트리스의 구조.

 

 

결국 기둥마다 붙어 있는 공중부벽과 버팀부벽이 마치 게의 다리처럼 연속적으로 튀어 나와 있는 모습이 고딕 양식의 가장 특징적인 모습이 되었다. 버팀부벽은 무거울수록 기둥에서 전달되는 횡압력을 더 안정적으로 막아낼 것이다. 그리하여 부벽 윗부분에 석재를 더 높이 쌓고, 그 끝부분은 뾰족한 모양으로 디자인을 하는데, 이것을 ‘피너클pinnacle’이라고 한다. 고딕 양식을 뾰족한 건축으로 인식하는 이유는 첨탑 때문만이 아니라 이 피너클 때문이다. 왜냐하면 첨탑의 숫자는 제한적이지만 기둥마다 붙여 있는 버팀부벽의 숫자는 이보다 훨씬 많아서 성당의 실루엣을 뾰족뾰족하게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12.jpg

아미앙 성당의 버팀부벽과 공중부벽, 피너클. ©Jacques76250

 

 

이러한 건축 구조의 혁신으로 커다란 스테인드글라스에서 들어온 빛이 실내를 채우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건축물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이는 갈비뼈 둥근 천장, 첨두아치, 그리고 버팀부벽·공중부벽 이상 세 가지 구조로 탄생한 것으로 커다란 스테인드글라스는 그러한 구조가 낳은 산물이다. 중세에 발전시킨 이런 건축 구조는 현대의 철골구조에 비견될 수 있을 정도로 첨단 시스템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다음 시간에는 고딕 양식 건축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고딕 가구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3.jpg

프랑스 렝스 성당 앱스 부분의 스테인드글라스에서 빛이 쏟아지고 있다. 이 앱스 부분의 밖에서는 수많은 버트리스가 건물의 기둥에 부착되어 있다. ©Pepijntje

 

 

글 | 김신 디자인 칼럼니스트

(designpress2016@naver.com)

 

?

  1. 적칠관목주자(적칠 기법 느티나무 주자)

    2019 제 71회 쇼소인(정창원) 특별전 @나라 국립 박물관 서론입니다. https://blog.naver.com/cwj1999/222266405964 1. 적칠관목주자 (적칠 기법 느티나무 주자) 적칠문관목어주자, 적칠문관목주자, 적칠관목어주자 우리나라에서 그나마 많이 알려진 관목주자입니다. 정창원 (쇼소인) 보물 중 대표 보물 입니다. 백제 의자왕이 하사한 물품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저또한 ...
    Date2024.10.24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113
    Read More
  2. 바로크, 오더(order)의 과장과 왜곡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⑩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15세기 이탈리아 피렌체는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가 된다. 금융과 무역, 양모 산업 등으로 큰 부를 쌓은 상인들은 ‘팔라초palazzo’라는 이탈리아식 궁전을 짓고 내부는 당대 최고의 화가와...
    Date2023.05.03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464
    Read More
  3. 르네상스, 로마의 고전주의가 다시 부활하다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⑨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5세기에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뒤 유럽에서는 고전 양식이 빛을 잃고 말았다. 고전 양식의 문법도 잊었고, 건설 방법도 잊은 듯했다.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 양식을 대체한 것은 고딕 양식이다....
    Date2023.05.03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298
    Read More
  4. 고딕 성당을 모방한 고딕 가구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⑧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고딕 건축의 가장 큰 특징 두 가지는 빛과 높이라고 지난 글에서 설명한 바 있다. 건축 디자인의 핵심적인 과제 중 하나는 창과 벽, 실내 공간으로 빛을 어떻게 표현하는가이다. 하지만 가구란...
    Date2023.05.02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344
    Read More
  5. 고전 양식과 함께 유럽 건축의 양대 축, 고딕 양식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⑦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유럽에서 고전 양식 classical style은 최초의 건축양식이다. 그리스에서 탄생해 로마에서 형식주의를 더욱 발전시켰다. 하지만 5세기에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이 양식은 급속도로 양화 되었...
    Date2023.05.02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1857
    Read More
  6. 로마 건축은 그리스 건축과 어떻게 다른가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⑥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지난 글에서 서양 건축과 디자인의 영원한 규범인 오더order *보에 해당하는 엔타블라처와 기둥에 해당하는 칼럼의 구성조합 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더란 건축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인 기둥...
    Date2023.05.02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503
    Read More
  7. 서양 건축과 가구의 영원한 규범, 오더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⑤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19세기 말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캐비닛을 보자.(아래 사진) 이 캐비닛의 정면은 마치 건축물과 비슷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캐비닛의 정면에는 필요하지도 않은 기둥이 부조처럼 조각되어 ...
    Date2023.05.02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479
    Read More
  8. 가구 다리의 세로 줄무늬는 어떻게 탄생했나?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④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근대 이전의 유럽 가구들을 보면 다리에 세로 줄무늬가 나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18세기 중엽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신고전주의 가구에는 거의 예외 없이 적용돼 있다. 다리가 기능...
    Date2023.05.01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278
    Read More
  9. 권좌의 탄생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③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동양 주거문화에서 의자가 서민의 일상 속 보편적인 가구가 된 것은 불과 100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의자는 그렇게 필수적인 가구가 아니라는 뜻이 아닐까?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
    Date2023.05.01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269
    Read More
  10. 이집트 가구, 유럽 가구 문화의 기원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②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가구는 기본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다. 석기시대에도 이미 나무로 만든 가구가 쓰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가구는 세월의 힘을 견디지 못한다. 나무는 자연의 풍화로 썩고 분해되어 자연...
    Date2023.05.01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387
    Read More
  11. 가구 디자인의 출발 [김신의 가구 이야기] ①

    원시 인류의 가구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구 디자인의 본질을 건축 역사와 함께 살펴본다. 나아가 현대 가구에서 과거의 유산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소개한다. 가구는 언제부터 만들어졌을까? 오늘날까지 보존된 가장 오래된 가구 중 하나는 신석기 유적지 스캐러 브레이Skara Brae의 가구들이다. 스캐러 브레이는 스코틀랜드 오크니 군도의 한 섬에 있...
    Date2023.01.27 Category히스토리 Reply0 Views309
    Read More
  12. [디자인] 25개의 각기 다른 디자인 의자를 즐길 수 있는 컨템퍼러리 카페

    덴마크 코펜하겐 현대미술관 카페 코니코니 Photo by Marco van © Copenhagen Contemporary 디자이너의 미적 감각과 기술이 혼합되어 완성되는 작품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의자를 빼놓을 수 없다. 특히 덴마크에서는 아름다운 의자를 선보인 수많은 브랜드들이 아직도 그 클래식의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디자인 의자에 대한 높은 평가와 문화적 배경에는 받은 첫 ...
    Date2022.03.02 Category디자인 Reply0 Views425
    Read More
  13. [디자인] Mock-up 작업의 중요성

    초반에는 디자인을 하고 꼭 목업작업을 한 후 실물 작업에 들어갔는데 어느덧 목공 10년 차가 넘어가면서 이제는 3D도면 프로그램에 의지하며 바로 본 작업에 들어가곤 합니다. 목업작업의 중요성은 잘 알고 있지만 매 작업마다 실천하기는 쉽지 않네요. 우연히 보게된 영상에서 초심을 잃지 말자 다시 한 번 마음을 다잡습니다. [Facebook - Phan Thanh Hải]
    Date2021.09.09 Category디자인 Reply0 Views219
    Read More
  14. [디자인] 프리츠 한센, 순환이 가능한 가구

    친환경 플라스틱 의자 NO2 Recycle 시리즈 덴마크 가구를 대표하는 브랜드 프리츠 한센 Fritz Hansen이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N02 Recycle 의자를 선보였다. 친환경적 의미와 의자의 기능적 편안함을 한데 담은 시리즈다. 친환경 제품을 만드는 데에 모든 브랜드가 점점 더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와중, 프린츠 한센도 이 대열에 적극 합류했다. 가정에서 폐기한 플라스...
    Date2021.06.16 Category디자인 Reply0 Views361
    Read More
  15. [디자인] 종이로 만든 가구 페이퍼팝(PAPER POP)

    종이로 가구를 만드는 기업의 리포트입니다. 종이로 어떻게 가구를 만들어?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페이퍼팝(PAPER POP)이라는 우리나라의 스타트업 기업입니다.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요즘같은 시기에 잘 어울리는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페이퍼팝은 종이를 사용하여 가구 및 일상 제품을 만들고 있는 친환경 스타트업 회사이다. 가구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고 원...
    Date2021.06.07 Category디자인 Reply0 Views39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Online Network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기타치는목수 블로그 네이처위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