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원목가구 만들면서도 합판 쓰면 유해가구 되는 이유 있다!(2)

by 기타치는목수 posted Jun 25,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전 글에서 계속...)

 

우리처럼 아이들을 심하게 옥죄는 건 문제가 많다고 누구나 지적한다. 그렇다고 마냥 자유분방하게 내버려 둔다고 스스로 반듯하면서 성실하게 크는 건 아니다. 금방 버릇 없고 이기적이며 거친 아이가 된다는 걸, 아이를 키워 본 부모들은 금새 알게 된다. 세상만사 저절로 바르게 되는 건 없는 거다.

 

 

C0_E2_1.JPG

 

 

하물며 돈이 걸린 문제에서 규제가 허술하면 얼마나 더 천방지축이 되겠는가?

유해하지만 값싼 재료 vs. 건강하지만 비싼 재료 중, 규제 없다면 기업체 입장에서 값싼 재료로 확 쏠리는 게 당연한 이치이다.(일부 예외가 있더라도) PB/MDF/합판 vs. 원목, 가구/인테리어 세계에서도 이게 항상 문제인 거다.

 

 

C0_FA_BF_EF_C1_FA01_550.jpg

 

 

다른 건 타협할 수 있어도 사람의 생명이나 건강이 걸린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아주 엄격한 경계선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래야 가구 같으면 원목가구에 견줄 수 있는 건강한 가구들이 나오는 건데, 우리는 경계선이 흐릿하다 못해 아예 없는 편이다...

 

 

B0_E6_1.JPG

 

 

건강한 원목가구 수준은커녕, 유해하여 실내에 들여서는 안 되는 가구가 양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는 원목가구에 일부만 합판을 써도 전체가 유해해지는 어처구니 실정이다.

 

 

BAΚ_1.JPG

 

 

 

'왜 국내에서는 합판 섞어 쓴 원목가구조차 유해가구로 전락한 걸까?' 라는 문제의 답을 최근의 파이낸셜 뉴스에서 찾아 보고 있다. 건강한 원목가구를 꿈꾸었다면 합판 없이 끝까지 한올 한올 100% 원목가구로 만들어지는 게 얼마나 중요한 지 알아 보고 있다. 이전 글에서는 첫 번째 이유를 알아 보았다. 건강한 원목가구조차 그런 합판 섞어 만드는 순간 타락하고 마는 거다. 왜 선진국에서 조차 100% 원목가구에 집착하는 지 알 일이다.

 

1. 수입산 합판은 등급 규제가 아예 없다! 

 

FV_dinning01_550_440.jpg

 

 

2번째 이유로 달려 가 보자.

 

2. 가정용 가구의 합판 역시 등급규제 없다!

 

뉴스에서는 국내업체의 의견을 반영하여 마치 수입산 합판만의 문제인 것처럼 역설하고 있다. 심지어 " 학생용가구 등에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기준) E2등급의 사용을 제한하면서 사실상 E2등급을 생산하지 않고 있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일부 업체야 그럴 수 있어도 과연 모두 그럴까?

 

 

B9_E803_550.jpg

 

 

조달청장의 인터뷰 내용을 보면 말도 안 되는 소리임을 금방 알 수 있다. "조달청을 통한 가구류 납품액은 국내 전체시장 규모인 5조 원의 10%선으로..." (관련 내용은 이전 글 <교실이 아이방보다 낫다? 친환경 원목가구로 아이방에서 유해물질을 퇴출시켜야!>에서...) 10% 가구 시장에 쓰이는 합판의 E2등급을 막았다고 나머지 90%까지 단번에 원목가구처럼 건강해지리라 상상할 수 있을까? 그저 상상일 뿐이다.

 

 

BB_FD_B0_A202_550.jpg

 

 

설령 효과를 발휘해서 일부분이 한 단계 좋아졌을지언정 모두가 한번에 점프했다는 건 순전히 자화자찬일 뿐이다. 걸음마도 못 띤 아이에게 뛰기를 기대는 건 무리이다.

 

 

B0_E8_B4_DC07_550.jpg

 

 

우리는 가정용 가구에 대해서는 어떤 규제도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

기술표준원이 시도했지만 중소 가구업체의 강력한 반발과 함께 "상생"이라는 시대적 흐름 때문에 포기한 상태이다.(관련 내용은 이전 글 <친환경가구 무기한 연기! 아이방에 원목가구 필요성 무제한 UP!>에서...)

 

 

C6_F7_B1_E201_550.jpg

  

 

 

당신 같으면 아무런 규제도 없는 가정용 가구 시장을 위해 다 똑같이 생긴 합판을 비싼 비용으로 만들어 동일한 가격으로 공급하겠는가? 규제 없는데 업체들이 그런 걸 사겠는가? 아무리 소리 높여도 그런 합판은 무시당하는 게 당연한 거다. (관련 내용은 이전 글 <유럽에선 출전 금지된 당신이 부끄럽다! 원목가구가 자랑스런 5가지 이유!!>에서...)

 

 

B9_AB_BD_C301_550.jpg

 

 

그러면, 과연 E2등급을 벗어났다고 해서 솔리드 원목가구처럼 건강한 SE0(슈퍼E0)등급일까? 국내에서 사용하는 합판을 자랑스럽게 수출이라도 할 수 있을까? 기껏해야 E1등급일 뿐이다. 그런데 이 E1등급은 솔리드 원목가구의 SE0등급에 비하면 2~5배나 많은 포름알데히드를 뿜어내는 등급이어서 선진국에선 법으로 실내사용 금지라는 사실을 아는가? (관련 내용은 이전 글 <국회의원까지 가구 문제에 나섰다! 가족 건강 위해선 진짜 친환경인 원목가구로...>에서...)

 

 

B1_DD_C1_F603_550.jpg

 

 

원목가구를 만들다가 합판을 섞어 써도 전체가 유해가구로 전락하는 2번째 이유이다. 뒷판도 밑판도 끝까지 원목으로 해야 안심할 수 있는 이유이다.

 

 

0Bergmann_Campus07_550_440.jpg

 

 

혹시 당신도 국내산 가구라고 100% 원목가구 수준인 줄로 속고 있는 건 아닐까?